주식의 현재가가 1만원인데 1만3000원이 되려면 그 사이에 있는 매도 주문을 모두 소화해야 됩니다. 이게 무슨말인지 모른다면 여러분은 이 글을 꼭 읽어야 합니다.
주식 투자하려면 꼭 알아야 할 작동원리가 있습니다. 주가가 결정되는 방식, 바로 호가 시스템입니다. 모든 국내 주식은 이 호가 시스템의 원리에 따라 거래됩니다. 겉으로 보이는 매매 체결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주가 흐름과 심리전에도 영향을 줍니다. 여러분의 학습량, 선구안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이 호가시스템의 작동원리를 모른다면 좋은 투자를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많은 주식투자자가 이 원리를 모르고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큰 세력의 작전에 마음이 흔들리고 추격 매수했다가 큰 손해를 보곤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호가시스템의 기본 작동원리에 관해서 소개합니다.
*이건 꼭 알아야 해! 호가시스템의 이해
-매매 우선순위는 ‘가격-시간순-수량’으로 결정됩니다
-현재가에 가까운 주문부터 순차적으로 매수, 매도됩니다 -> 앞선 물량들을 해소해야 최고가, 최저가를 바꿀 수 있습니다.
1) 기억하세요! 거래 체결의 3요소, ‘가격-시간-수량’
먼저 호가시스템의 기본 원리를 소개합니다. 컴퓨터로 작동하는 HTS든 휴대전화로 작동하는 MTS든 원리는 똑같습니다. 호가창을 열어보면 빨간색은 매수호가, 파란색은 매도 호가. 호가 양옆에는 주문잔량이 적혀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빨간 배경의 13000원 옆의 3200은 3200주를 사겠다는 뜻입니다. 주식의 거래는 매수자와 매도자의 희망가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증권거래소는 접수된 매매 주문에 ‘가격-시간-수량’ 순서에 따라 거래 순위를 정해줍니다. 이를 ▲가격 ▲시간 ▲수량 우선의 원칙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1순위는 가격이 유리한 주문(비싸게 사려는 자, 싸게 팔려는 자) 동일한 가격이라면 먼저 들어온 주문부터(2순위), 가격 및 시간이 같다면 주문 수량(3순위)이 많은 사람의 주문을 먼저 체결한다는 뜻입니다.
2) 주식은 부르는 게 값? NO, 남이 부른 가격이 값이다
의외로 주식은 부르는 게 값이 아닙니다. 남이 불러놓은 가격과 일치하는 지점이 바로 값입니다.
예컨대 A주식의 현재가는 990원입니다. 그런데 990원에 사겠다는 사람은 많은데, 내가 1000원에 매도 주문을 걸면 어떻게 될까요? 체결은 이뤄지지 않으며, 누군가 1000원에 매수 주문을 걸어주기 전까지 거래는 체결되지 않습니다. 1000원에 매매 거래가 체결되면 비로소 현재가는 1000원이 됩니다. 쉽게 말해 매수자와 매매자의 짝짜꿍이 맞아야 한다는 겁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이 도출됩니다. 주식은 경매와 다르다는 점입니다. 경매는 최고가를 부른 사람이 앞선 호가들을 무시하고 물건을 차지하지요. 반면에 주식은 최고가를 달성하려면 더 저렴한 매물들을 모두 소화해야 합니다.
예컨대 2만원에 거래가 되는 B주식이 있습니다. 2만원에 매도 주문을 넣어도 매도할 수는 있겠으나 그보다는 1만9000원, 1만8000원 같은 저렴한 매도 주문이 우선 체결됩니다. 바로 주식매매의 가격우선의 원칙 때문입니다. 매수의 경우는 어떨까요. 1만9000원, 1만8000원에 사겠다는 사람보다 2만1000원에 사겠다는 사람의 주문이 먼저 체결됩니다.
애플전자의 현재가가 10만원인데, 누군가 이를 11만원으로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매도 주문 10만원과 11만원 사이에 있는 모든 주식을 다 사야만 11만원에 거래가 가능합니다. 그전에는 11만 원에 매수 주문을 넣어도 10만1000원, 10만2000원에 자동으로 거래 체결됩니다.
꼭 기억해주세요. 주식은 부르는 게 값이 아니라, 남이 부른 가격이 바로 값입니다.
3) 가격 원리를 파악했다면, 세력을 읽어봅시다
주가는 기존 호가를 모두 소화해야 움직입니다. 개인의 힘으로는 불가능합니다. 기존 매도벽을 녹여버릴 거대한 자금력과 여론을 움직일 호재까지 만들어야 합니다. 이걸 해내는 것이 바로 세력(외국인, 기관, 연기금)입니다.
세력은 시가총액이 낮은(약 5000억 이하) 종목을 고르고, 유통 주식수를 20~30%대로 줄인 뒤, 주가를 조종합니다. 그 원리에 대해서는 다음 편에서 살펴보겠습니다.
댓글